2023년 기준 중위소득 100%, 150%, 건강보험료 월부과액 기준 150%
▣ 2023년 중위소득 100%
구분 | 금액(원/월) |
1인 가구 | 2,077,892 |
2인 가구 | 3,456,155 |
3인 가구 | 4,434,816 |
4인 가구 | 5,400,964 |
5인 가구 | 6,330,688 |
6인 가구 | 7,227,981 |
7인 가구 | 8,107,515 |
* 8인 이상 가구의 기준 중위소득 : 1인 증가시마다 879,534원씩 증가(8인가구 : 8,987,049)
▣ 중위소득 150%
구분 | 금액(원/월) |
1인 가구 | 3,116,838 |
2인 가구 | 5,184,233 |
3인 가구 | 6,652,224 |
4인 가구 | 8,101,446 |
5인 가구 | 9,796,032 |
6인 가구 | 10,841,972 |
7인 가구 | 12,162,000 |
8인 가구 | 13,481,000 |
▣ 건강보험료 월 부과액 기준 중위소득 150%
■ 기준 중위소득이란?
■ 기준 중위소득 개념
보건복지부장관이 급여의 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하여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20조 제2항에 따른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·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윗값을 의미합니다. 2015년 기준 중위소득을 최초로 정했습니다.
■ 의의 및 활용도
국민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고 자활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국민기초생활보장의 급여의 기준을 정하는 지표.
■ 관련 용어설명
■ 시장소득
근로소득, 사업소득, 부업소득, 재산소득, 사적 이전소득
■ 가처분소득
시장소득+공적이전소득-직접세 및 사회보장세
■ 가구중위소득
댓글